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우리나라는 중독사회 우리나라는 국민의 7명 중 1명이 알코올 도박 인터넷 중독등에 빠져 있는 중독사회라고 합니다. 이로 개인의 건강과 경제적으로 피폐해지는 것은 물론 그 가족과 사회전체에 악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런 중독문제들을 예방하고 치유 할 방안들을 마련하고자 공부를 했습니다. 중독자 관리체계와 음주폐해예방시스템을 구축하고 중독문제대상의 조기발견 상담·치료·재활을 지원하여 안전한 사회 환경 조성할 방안을 마련하기위한 공부 모임이었습니다. 공부해서 해답을 찾아나가겠습니다. 더보기
오염된 조선소 부지를 지속가능한 사회로 만들기 위한 실험실 드 꺼블(de Ceuvel) 네덜란드 De Ceuvel지역은 암스테르담 북부의 Van Hasselt 운하인근은 80년 동안 North Amsterdam의 상업 조선소부지로 명성을 날리고 있었습니다. 이곳의 조선소들은 1970년대부터 하나씩 무너지기 시작했습니다. 1980년대 한국 조선소의 급성장이 그 이유 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네널란드 정부는 1990년후반까지 조선산업을 살리려 애썼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참혹했습니다. 정부의 막대한 지원도 효과가 없었습니다. 지역 조선소 부지였던 De Ceuvel지역의 조선소는 2000년경 대부분 문을 닫게 되었습니다. 세계 여러곳의 조선소 부지와 마찬가지로 80년간의 조선산업 전진기지로 사용된 부지는 중금속과 화학 물질로 물과 땅을 오염시켰습니다. 표. De Ceuvel의 변천사 년도.. 더보기
시민참여 리빙랩(Living Lab) 기반의 스마트 시티를 만들어 가는 네덜란드 네덜란드는 스마트시티 구축 분야에서 선도적인 국가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네덜란드의 스마트시티 구축에 있어서 리빙랩(Living Lab) 기반의 시민참여는 스마트시티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리빙랩(Living Lab) 현실적인 도시 생활과 거주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시스템, 서비스, 제품, 기술 등을 개발하고 실험하는 것입니다. 말 그대로 살아있는 연구실을 의미하며 기술을 이용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즉, 연구자가 연구실(Lab) 안에서만 진행하는 연구가 아니라 시민(수요자)이 직접 참여해 함께 문제를 풀어나가고 결과물을 만드는 시민요구 반응형 실험실을 의미합니다. 모든 지역 문제는 철저히 지역의 상황에 기반해 지역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풀어야 할 문제.. 더보기
미래형 항구(Port of the Future)로 불리는 로테르담항 로테르담항은 유럽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스마트한 항만입니다.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은 1,450만 TEU, 입출항 선박은 3만척에 달하며, 38만 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항구를 기준으로 24시간 이내에 서유럽의 모든 주요 도시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로테르담항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화를 목표로 지속가능성, 디지털화, 혁신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미래형 항구(Port of the Future)”로 불리는 로테르담항은 항만 운영의 효율성과 친환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단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고 하여 해외연수지로 선정해서 찾아왔습니다. 우리시는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 국제물류ㆍ비즈니스 중심항만 구축이라는 목표아래 진해 웅천ㆍ가덕 해역 일원을 중심으로 16조 8,000억원 예산으로 접안.. 더보기
반슈타트(Bahnstadt)도시 개발에서 창원의 미래를 찾다. 하이델베르크(Heidelberg)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에 있는 유서 깊은 도시다. 독일 라인 강 지류인 네카르 강변에 위치한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도시이다. 유구한 역사의 하이델베르크 성과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으로 알려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로 유명한 도시이며, 관광지로 꽤 각광받고 있는 관광도시이기도 하다. 인구는 약 15만명으로, 이 도시가 꽤 작은 도시임을 알 수 있다. 독일이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전 국토가 황폐화됐음에도 하이델베르크는 살아남았다. 하이델베르크시에서 가장 눈에 띄는 곳은 반슈타트(Bahnstadt) 신(新)시가지이다. 하이델베르크 구(舊)시가지와는 다른데요, 고전적인 도시라는 느낌이 강한 구시가지에 비해 반슈타트는 현대적인 느낌이 강하다. 잘 정렬된 건물들은 마치.. 더보기
창원시의회 건설해양농림위원회의 국외연수를 다녀왔습다. 창원시의회 건설해양농림위원회의 국외연수를 다녀왔습다. 국외연수를 떠날적 마다 주변의 외유성 연수 및 관광이라는 비난이 참으로 듣기 싫었습니다. 연암(燕巖) 박지원(朴知遠)의 《열하일기(熱河日記)》, 초정(楚亭) 박제가(朴齊家)의 《북학의(北學議)》와 같은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외국 견문록은 아니지만 박지원과 박제가가 여행을 통해 보고 배워와 민생의 일상을 이롭게 하며 생활을 풍족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신 것 처럼 저도 나름으로 외국 문화를 접하여 견문을 넓히고, 이를 우리 도시에 적용할 방도를 찾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점점 더 좁아지는 세계에게 견문을 넒히고 진화 보급하는 것은 대의제 민주주의에서 의원의 큰 역할과 임무 이기도 합니다. 어렵게 온 연수이니만큼 견문을 넓혀 시정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더보기
#창녕군수후보 #성기욱 #창녕군도의원후보 #우서영 간절함은 선거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지지자들의 강한 간절함은, 유권자들에게 그대로 전달됩니다. 저는 간절합니다. 창녕에 지인이 계시다면 전화 한통 부탁드립니다. #창녕군 #재보궐선거 #창녕군수후보 #성기욱 #창녕군도의원후보 #우서영 #창녕에서_시작합니다 더보기
창녕에 지인이 계시다면 전화 한통 부탁드립니다. 간절함은 선거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지지자들의 강한 간절함은, 유권자들에게 그대로 전달됩니다. 저는 간절합니다. 창녕에 지인이 계시다면 전화 한통 부탁드립니다. #창녕군 #재보궐선거 #창녕군수후보 #성기욱 #창녕군도의원후보 #우서영 #민주당_창녕에서_시작합니다 #할수있다더불어민주당 더보기
한때는 이지역 더러운 물은 다 조사하고 다녔었는데! 물의 날입니다. 제 인생의 많은 부분을 건강한 물을 위해 보냈습니다. 한 때는 연구와 실험! 그리고 현장이 지긋지긋 하여 도망치듯 뛰쳐 나온 적도 있습니다. 그래도 다시 건강한 물을 위해 다른 분야에서 같은 목적의 일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 물포럼에서 연구내용을 들어보니 옛 생각이 많이 났습니다. 한때는 이지역 더러운 물은 다 조사하고 다녔었는데! 수계는 즉, 물은 우리 몸의 혈관과 혈액과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혈액은 우리 몸의 수많은 조직과 기관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고,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몸 속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듯 수계도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생존에 필요한 물과 영양분을 제공 수송하며, 지구 환경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혈액이 건강하지 않으면, 몸의 건강도.. 더보기
지방소멸 대응가능한가? 지방소멸 대응가능한가?란 주제로 진형익 의원님과 공무모임을 진행했습니다. 1960년 수도권에 대한 규제제도가 처음으로 도입된 이래 점차 체계화 되고 강화되다가 2000년대 이후 다시 점차적으로 완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수도권 규제를 완화해 수도권 대학의 정원 확대, 반도체 특성화 대학원 재정 지원 키로 하였으며, 국내 유턴 기업의 수도권 경제자유구역 내 공장 신/증설 허용, 수도권 경제자유구역에도 첨단기술 투자 입주기업 등에 대한 세제 지원 및 감면 등 수도권에 대한 규제제도는 완화 되고 있습니다. 불균형적인 정치구조도 지방소멸을 가속화 하고 있습니다. 지역구 252석 중 서울(49석), 경기(59석), 인천(13석) 등 수도권 의석 121석(48%)를 차지 하고 있는 실정이니 경상남도 16석(6%)[..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