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아야 면장이라도 한다

사진에서 처럼 담벼락을 마주보고 서있으면 얼마나 갑갑하고 답답하겠습니까?

<사진은 인터넷에서>

대화 중 상대가 잘 알아듣지 못해 답답할 때 흔히 하는 말이 있습니다. “알아야 면장이라도 한다.” “뭘 알아야 면장을 하지”라고 하기도 합니다.

아는 게 없으면 정말 ‘면장’을 못할까? 그렇다. 말장난하느냐고 나무라는 사람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면장’은 흔히들 알고 있는 면(面)의 행정을 맡아보는 으뜸 직위에 있는 사람을 일컫는 면장(面長)이 아닙니다.

‘알아야 면장이라도 한다’의 면장은 한자로 面牆(또는 面墻)으로 씁니다. ‘면장’은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말씀인 ‘면면장(免面牆)’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논어》에는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공자(孔子)가 아들 백어(伯魚)에게 훈계하기를, “《시경(詩經)》을 배우지 않으면 담장을 정면으로 마주보고 서 있는 것과 같다.”고 하였습니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고전 가운데 하나인 《시경》을 읽지 않으면 마치 담장을 마주보고 서서 아무 것도 보지 못하는 사람처럼 식견이 좁고 답답해진다는 말입니다.

‘면면장(免面牆)’에서 장(牆 또는 墻)은 담벼락을 뜻합니다. 그래서 ‘면면장’이라고 하면 담벼락을 대하고 있는 것과 같이 앞이 내다보이지 않는 상황을 면(免)한다는 뜻이 됩니다.
눈앞에 담장이 가로막혀 있으면 아무것도 안보이면 그 얼마나 답답 하겠습니까? 즉 아는게 있어야 담장이 가로막혀 있는 답답함을 없앨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면면장’에서 앞의 면(免)자는 떼어버리고 ‘면장(面牆)’으로 쓰기 시작하면서 발음이 같고 우리에게 익숙한 면장(面長)으로 착각하는 사람도 생긴 듯 합니다.

그래서 “알아야 면장이라도 한다.”란 말은 아는게 있어야 담장이 가로막혀 있는듯한 답답함을 없앨 수 있다는 뜻입니다.

면(面)의 행정을 맡아보는 으뜸 직위에 있는 사람을 일컫는 면장(面長)이 아닙니다.